Yiksan0315's Blog

The Central Limit Theorem

  • or
  • 중심 극한 정리,
  • CLT

# Tag:

  • Subject/Probability

The Central Limit Thorem(중심 극한 정리; CLT)

어떤 분포를 따르는 sample이든, 그 표본 개수가 매우 커지게 될 때 표본 평균은 항상 Normal Distribution을 따르게 된다는 정리.

각 표본은 하고 분산이 finite하다는 필요조건이 있어야 한다.

Standardized sample mean: 이라고 할 때, 이 무한대로 커짐에 따라 Standard Gaussian distribution을 따르게 된다.

하지만 위 식에서 LLN에 의해 이 0으로 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를 곱해주는데, 가 어떤 값인지에 따라 에 의해 위 식이 발산하거나, 0이 되어버릴 수 있다. 그 적절한 수준이 이다. 따라서 을 곱해준다.

혹은 위 식을 이라고 본다면, Weak Law of Large numbers 증명 부분 혹은 Variance of Sample Mean에 따라 sample mean의 Variance이므로 단순히 표본 평균의 표준 편차로 나눠준 것이라 볼 수 있다.

Proof

둘의 MGF가 동일함을 보이면 된다.

라고 하면,

이 때 는 각각 독립이므로 기대값끼리 서로 곱할 수 있다.

하지만 위에서 단순히 를 하면 으로 바뀌어 1의 값으로 수렴해버린다. 이를 위해 위 식에 log를 쒸우고 여러 번 L'Hôpital's Rule을 적용한다.

이를 계속 적용하면 라는 결론이 나오고, 이는 Standard Gaussian distribution과 일치한다.

정규 분포이항 분포로의 근사

이항 확률변수가 iid한 베르누이 확률 변수의 합이라는 것이라는 걸 생각하면 중심 극한 정리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를 베르누이 확률 변수라고 하면

toc test

이 페이지는 리디주식회사에서 제공한 리디바탕 글꼴이 사용되어 있습니다. 리디바탕의 저작권은 리디주식회사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This Font Software is licensed under the SIL Open Font License, Version 1.1.

Copyright 2025. yiksan0315 All rights reserved.